티스토리 뷰

 
 

암호화폐 투자에서 거래 내역 확인은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막상 어디서 어떻게 봐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래소별 확인 방법부터 오류 대응, 세금 신고까지 고려해야 할 점이 많죠. 이 글에서는 국내외 주요 거래소에서 코인 거래 내역을 정확히 확인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코인 거래 내역 확인이 중요한 이유

 

매번 거래할 때마다 기록을 남기지 않으면, 어느 순간 자산이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실제로 한 투자자는 1년간 200회 이상 거래했지만 내역을 정리하지 않아 연말 세금 신고에서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국세청은 가상자산 양도소득에 대해 과세 대상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며, 거래 내역은 필수 제출 서류입니다.

 

정확한 기록은 심리적 안정에도 도움이 됩니다. 감정에 휘둘려 무작정 매수하거나, 손실을 부풀려 과도한 매도를 막을 수 있죠. 제 지인 중 한 명은 매일 아침 10분씩 거래 내역을 정리하는 습관을 6개월간 유지한 후, 수익률이 17% 향상됐다고 말했습니다.

 

코인거래내역

 

 

국내 거래소에서 거래 내역 확인하는 방법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는 모두 웹과 모바일 앱에서 거래 내역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접근 경로가 다소 숨겨져 있어 처음 사용자에게는 어려울 수 있어요.

 

업비트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자산’ → ‘거래 내역’을 클릭하면 전체 거래 목록이 나옵니다. 여기서 ‘거래’, ‘입출금’, ‘수수료’ 탭을 별도로 확인할 수 있어요. 필터 기능을 활용해 특정 기간, 특정 코인만 골라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빗썸은 ‘내 정보’ → ‘거래 내역 조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CSV 다운로드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 파일은 엑셀로 분석하거나 세금 신고용 자료로 활용할 수 있죠.

 

업비트와 빗썸의 내역 차이점 비교

 

항목 업비트 빗썸
CSV 내보내기 가능 (최근 3개월) 가능 (최근 1년)
수수료 내역 분리 별도 탭 제공 거래 내역에 포함
API 연동 지원 O O
모바일 내역 검색 제한적 상세 필터 가능

 

암호화폐거래기록

 

 

해외 거래소 거래 기록 조회 팁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크라켄 등 해외 거래소는 인터페이스가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 오히려 더 정교한 내역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바이낸스는 ‘Wallet’ → ‘Transaction History’에서 입출금 내역을, ‘Orders’ → ‘Trade History’에서 실제 체결 내역을 볼 수 있어요. 중요한 점은 거래소마다 ‘체결 시간’ 표기 방식이 다르다는 것. UTC 기준인지 현지 시간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한국어 지원이 부족한 점이 단점이지만, 브라우저 번역 기능을 활용하면 큰 무리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제 경험상, 바이낸스는 전체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Statement’ 기능이 있어 세무 대비에 매우 유리했습니다.

 

해외 거래소 내역의 신뢰성 문제

 

해외 거래소는 한국 거래소와 달리 공식 증빙서 발급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세금 신고 시에는 내역 스크린샷 + 거래소 공식 이메일 인증을 함께 제출하면 인정되는 사례가 늘고 있어요.

 

특히 코인베이스는 ‘Tax Report’ 기능을 통해 연간 거래 요약서를 자동 생성해줘서 미국 외 지역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다만 이 기능은 유료이며,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아요.

 

가상자산세금신고

 

 

거래 내역 오류 발생 시 대응 전략

 

가끔 ‘체결됐는데 내역에 안 떴다’거나 ‘수수료가 이상하게 부과됐다’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럴 땐 우선 거래소 고객센터에 문의하기 전, 블록 익스플로러를 활용해 실제 체결 여부를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이더리움 기반 거래는 Etherscan, 비트코인은 Blockchain.com에서 트랜잭션 ID를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친구는 바이낸스에서 입금 누락을 신고했지만, Etherscan에서 확인해보니 수수료 부족으로 실패한 거래였던 사례가 있었어요.

 

이처럼 내역 오류는 대부분 사용자 실수나 네트워크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거래소보다 먼저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여러 거래소 통합 관리하는 방법

 

여러 플랫폼에서 거래하면 내역이 분산되기 마련입니다. 이럴 땐 포트폴리오 관리 앱을 활용하세요. ‘디파이 플래너’, ‘코인트래커’, ‘넴시스’ 같은 도구는 API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거래 내역을 수집하고 분석해줍니다.

 

저는 현재 넴시스를 사용 중인데, 업비트, 바이낸스, 코인원까지 한눈에 수익률과 자산 분포를 볼 수 있어요. 특히 ‘세금 리포트’ 기능은 연말 정산 시 큰 도움이 됩니다.

 

업비트거래내역확인

 

 

거래 내역을 통한 투자 성과 분석

 

단순히 기록을 넘어서, 내역을 분석해 투자 습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수 평균가 대비 현재가’, ‘거래 빈도 대비 수익률’ 등을 시각화하면 무의식적 패턴을 발견할 수 있어요.

 

제가 지난 3개월간 분석한 결과, 금요일 오후에 매수한 거래의 수익률이 평균 2.3% 낮았고, 이에 따라 그 시간대 거래를 자제하는 룰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소소한 조정이 장기적 수익에 큰 영향을 줍니다.

반응형